주한중국대사관, 중국인 정치참여 금지…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 논란
본문 바로가기

사건.사회.정치.역사.인물

주한중국대사관, 중국인 정치참여 금지…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 논란

중국 대사관, 정치집회 참여 시 강제 추방 경고

 

2025년 1월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및 탄핵 찬성 집회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이 집회에 중국인이 다수 참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주한중국대사관은 4일, 한국에 체류 중인 중국인들에게 정치활동에 참여하지 말 것을 강력히 당부했다.

주한중국대사관은 위챗을 통해 공지를 올리며 "한국의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경우 외에는 외국인의 정치활동이 금지된다"고 경고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강제 추방될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전달되었다.

한국 내 정치집회와 중국인의 참여 논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찬성 집회에서 다수의 중국인이 참석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후, 여권 일각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진과 글을 소셜미디어에 게시했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의 SNS에 "다수의 중국인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글과 사진을 공유했다. 그러나 이 사진의 정확한 장소와 참석자의 국적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논란은 확산되었다. 해당 게시물은 이후 삭제되었지만,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주한중국대사관의 경고와 안전 유의사항

주한중국대사관은 한국 내에서 시위 및 정치집회가 빈번하게 열리고 있음을 언급하며, 자국민들에게 집회 참가를 피하고 밀집된 장소를 피할 것을 요청했다. 또한, 정치적 발언을 자제하고 교통 통제에 유의하여 자신의 안전과 이동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강제 추방" 경고도 포함되어 있어, 한국에서 정치 활동에 참여할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음을 명확히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찬성 집회와 외교적 갈등

이번 논란은 단순히 정치적 의혹을 넘어서 외교적 갈등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중국 대사관의 강경한 입장은 주한 중국인들의 정치적 활동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정치집회에 참여한 외국인의 신원 확인과 그들의 참여 동기가 무엇인지는 앞으로도 중요한 논의 거리가 될 것이다.

결론: 한국 내 정치적 논란과 중국의 입장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치적 논란과 시위가 중국과의 외교적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주한중국대사관의 경고가 제기된 상황에서, 중국인들의 정치 참여가 그 어떤 형태로든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중국과 한국 간의 외교적 긴장이 고조될지 여부는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다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