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커피 체인점 스타벅스의 매출 하락
스타벅스는 올해 초 전 세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으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는 최소 1년 이상 영업한 점포의 매출이 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스타벅스는 왜 이러한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일까?
충성 고객들의 이탈
스타벅스에서 가장 충성도가 높은 고객층인 '스타벅스 리워드 회원'도 이탈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활성 리워드 회원 수는 전 분기 대비 4% 줄어들었다. 이는 스타벅스의 충성 고객들마저도 스타벅스를 떠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가격 인상의 영향
미국 아이다호주에 거주하는 앤드루 버클리는 스타벅스에서 모카커피를 자주 마셨으나, 가격이 6달러(약 8,200원)를 넘어가자 스타벅스를 끊기로 결심했다. 그는 "이제 끝이다"라며 스타벅스 대신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거나 더 작은 커피 체인점으로 옮겼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고물가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불매 운동의 직격탄
작년 10월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자금을 지원한다는 주장으로 인해 스타벅스는 불매 운동의 직격탄을 맞았다. 이는 특히 중동 지역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매출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스타벅스의 대응
랙스먼 내러시먼 스타벅스 CEO는 최근 콘퍼런스콜에서 최근 매출이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그는 중동 지역에서의 "잘못된 정보"가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새러 세나토레 분석가는 스타벅스의 가격 인상이 경쟁업체에 비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불매 운동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로만 최근의 매출 감소를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마케팅 전략과 신메뉴 출시
내러시먼 CEO는 신메뉴 출시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매출을 회복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레이철 루게리 스타벅스 CFO는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이는 스타벅스가 매출 회복을 위해 장기적인 전략을 구사해야 함을 의미한다.
고객들의 변화하는 소비 패턴
최근의 고물가 상황은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스타벅스의 높은 가격 정책은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많은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대안을 찾고 있으며, 이는 스타벅스의 매출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결론
스타벅스는 최근의 매출 하락과 충성 고객들의 이탈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가격 인상과 불매 운동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변화하는 소비 패턴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타벅스는 신메뉴 출시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매출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이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스타벅스가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