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

미국 주식 시장, 마진 부채 급증과 무역 관세 위협 속에서 갈림길에 서다

미국 주식 시장은 현재 마진 부채 급증, 무역 관세 위협, 그리고 인플레이션 우려 등 복합적인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5년 2월 27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해 추가적인 무역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장은 급격히 하락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주식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엔비디아는 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향후 매출 전망치가 월스트리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총 이익률 하락을 예고하면서 투자자들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 발표 후 AI 주식들은 일시적인 상승을 보였으나, 이내 차익 실현에 나선 투자자들에 의해 빠르게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시장 전체의 불확실성을 더욱 부각시켰고, 인플레이션 우려와 소비자 신뢰 저하가 결합되며 경제 둔화에 대한 공포를 증폭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2025년 2월 28일 발표될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주목하고 있다. PCE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시장 안정성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2025년 1월 PCE 물가지수는 월간 상승률 0.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4년 12월과 동일한 수준이며, 핵심 PCE 지수는 0.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준이 목표로 설정한 연간 2% 인플레이션 목표와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으로, 시장은 이를 불안 요소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연간 PCE 물가는 2.5%로 예상되며, 이는 2.6%에서 소폭 하락한 수치이다. 그러나 핵심 PCE 물가는 2.6%로, 이전 2.8%에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완화된 물가 상승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아직 금리 인하를 고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올 경우, 이는 이미 불안정한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세 발표와 소비자 신뢰도 저하가 결합되면서,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마진 부채의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상황에서, 이로 인한 리스크는 더욱 커지고 있다. 2025년 1월, 미국 주식 시장의 마진 부채는 9370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지난해 7010억 달러에서 33% 증가한 수치이다. S&P 500 지수의 24.7% 상승과 일치하는 수준으로, 이는 과도한 낙관주의가 빚은 결과다. 마진 부채는 주식 가치가 오를 때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시장이 급락할 경우에는 마진콜을 초래하고, 주식 매도가 이루어지며 시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트루이스트 웰스의 공동 CIO인 키스 레너는 2월 24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주식 시장의 매력도를 '매우 긍정적'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 실적 둔화, 기술적 지표 약화, 그리고 경제적 신호들이 부진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시티의 경제적 서프라이즈 지수는 6개월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낮은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추길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자본 지출을 줄이고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이언우드 매크로이코노믹스는 기업들의 장비 투자 증가율이 지난해 중반의 두 자릿수에서 2025년 초 3%로 둔화된 것을 지적하며, 이는 무역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한 기업 신뢰 부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S&P 500의 향후 12개월 실적 전망은 1% 하락했으며, 주가 수익 비율(P/E 비율)은 22배로,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레너는 현재 주식 시장이 과대 평가된 상태에서 실적 성장이 둔화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는 시장이 점차적으로 하락세로 접어들 가능성을 높인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현금을 확보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반영한 조언이다.

미국 주식 시장은 PCE 물가지수와 경제 지표들이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따라 큰 변동성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PCE 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낮게 발표된다면 일시적인 안도감을 줄 수 있으나, 현재의 불안정한 경제 상황에서 강력한 매수세를 불러일으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반면, 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웃도는 수치로 발표된다면, 이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다는 우려를 더욱 증폭시키고, 연준의 금리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져 시장의 불안정성을 더할 것이다.

https://scvgosir.blogspot.com/2025/02/us-stock-market-faces-debt-highs-and.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