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대응

(2)
태영건설 부실과 PF 위기, 건설업계 대책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결정되면서 건설업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은 채권단 동의율 96.1%로 의결되었으며, 이에 따라 4월 11일까지 4개월 동안 금융채권 상환 유예가 이뤄집니다. 정부는 워크아웃 과정에서 협력업체와 수분양자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PF 사업장의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며, 건설업계는 이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태영건설을 계기로 PF 위험성이 드러난 지난 10일, 정부는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하며 자금 흐름 개선과 사업장별 재구조화·정상화를 지원하는 내용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적 PF대출 보증 25조원을 제공하고 PF-ABCP 대출 전환을 확대하여 건설사의 유동성 확보를 돕기로 했습니다. 또한, 어려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BF) 위기 속, 브릿지론의 불안한 미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BF)의 위기 한국의 부동산 시장에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BF)이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 D사의 이천과 안양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한 사업에서 책임준공 약정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우발채무는 2900억원대로 늘어났다. 비주택 대출 잔액과 브릿지론의 위험 부동산 업계 및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비주택 대출 잔액 중 15조~20조원 가량이 브릿지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대부분의 브릿지론은 미착공 PF로 분류되며 이는 우발채무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고공허 속의 부동산 프로젝트 미착공 PF 중 상당수는 물류센터와 지식산업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물류센터는 2025년까지 미착공률이 증가할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