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이 전 세계적으로 무역 전쟁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이를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협상 전술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미국과의 협상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으며, 4월 1일까지 대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백악관의 고위 관계자는 13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상호관세 행정명령과 관련된 브리핑에서, 이 정책이 각국과의 재협상을 촉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은 다른 국가들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수입 관세를 조정할 수 있다"며, 이는 협상 여지가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이어 "각국이 관세를 낮추기 원한다면, 미국도 협상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와 동시에 인도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대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협상에 나섰다. 특히 F-35 전투기와 원자력발전소 도입을 포함한 협상 테이블에 올랐다. 이러한 협상은 4월 1일까지 완료되어야 하며, 다른 국가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전에 강력한 입장을 취한 뒤, 차후 협상을 통해 더 나은 거래 조건을 얻는 것을 선호한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의 관세 부과를 한 달 연기하며, 강력한 협상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관세 위협은 실제적인 무역전쟁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시장 역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신중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는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이 실제로 시행될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면서 달러 강세가 약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은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할 방법을 모색 중이다. 일부 국가는 협상 연기나 면제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은 실질적인 관세 부과에 직면할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https://since20230806.blogspot.com/2025/02/countries-seek-solutions-to-trade.html
Countries Seek Solutions to Trade Imbalances as US Considers Reciprocal Tariffs
Global Leaders Engage in Negotiations Amid Growing Trade Tensions President Donald Trump signed an executive order addressing the issue of r...
since20230806.blogspot.com